건선은 만성 피부질환으로, 치료 방법과 중증도에 따라 비용 부담이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중증 건선의 경우 치료비가 상당하여 보험 혜택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선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과 적용 가능한 보험 혜택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신뢰할 만한 자료
✅ 건선 치료 비용
1. 일반 치료 비용
- 국소 스테로이드제 및 보습제
- 일반적으로 보험 적용이 되어 비용 부담이 적습니다.
- 1개당 1~3만 원 수준으로, 연간 20~50만 원 예상.
- 광선치료(UVB, PUVA)
- 1회당 약 1~3만 원으로, 주 2~3회 시술 시 월 10~30만 원 발생.
- 연간 200~300만 원 수준의 비용이 들 수 있음.
🔹 추가 정보:
- 광선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만, 일부 병원에서는 비급여 항목으로 운영될 수도 있습니다.
- PUVA(경구 광과민제 사용 포함) 치료는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 부담 20~30% 정도.
- 대한피부과학회 - 광선 치료 효과 연구
2. 중증 건선 치료 비용
- 전신 면역억제제(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 월 5~20만 원 수준, 보험 적용 가능.
- 장기 복용 시 간독성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혈액 검사 필요.
- 생물학적 제제(Biologics) 치료
- 1회 투약 비용이 100~200만 원으로,
- 연간 치료비는 1,000만 원~1,700만 원에 달할 수 있음.
- 대표적인 생물학적 제제: 휴미라, 코센틱스, 스카이리치, 트렘피어
🔹 추가 정보:
- 생물학적 제제는 보험 적용이 가능하지만, 산정특례가 필요함.
- 대한피부과학회 - 생물학적 제제 사용 가이드
✅ 보험 혜택 및 산정특례 제도
1. 산정특례 적용 기준
중증 건선 환자는 산정특례 제도를 통해 치료비 부담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 적용 대상:
-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중증 판상 건선
- 체표면적(BSA) 10% 이상 침범
- 건선 중등도 평가지수(PASI) 10점 이상
- 전신 치료제(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광선치료를 3개월 이상 시행했으나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 발생
🔹 추가 정보:
- 산정특례 적용 시 본인부담금이 10%로 경감되어, 연간 100만 원 수준으로 치료 가능.
- 국민건강보험공단 - 산정특례 신청 방법
2. 산정특례 적용 시 혜택
치료 항목 | 일반 부담 | 산정특례 적용 시 부담 |
---|---|---|
광선치료 | 1회 1~3만 원 | 1회 5,000~10,000원 |
전신 면역억제제 | 월 5~20만 원 | 월 1~5만 원 |
생물학적 제제 | 연 1,000~1,700만 원 | 연 100~200만 원 |
🔹 추가 정보:
- 산정특례 적용 여부는 피부과 전문의 소견서를 통해 신청 가능.
- 국민건강보험공단 - 중증 건선 산정특례 신청 방법
✅ 건선 관리 로션 추천
✅ 산정특례 미적용 시 부담
- 산정특례 적용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생물학적 제제 치료 시 연간 1,000만 원 이상의 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함.
- 면역억제제 및 광선 치료를 일정 기간 시행 후 보험 적용 여부를 재검토 가능.
🔎 결론: 건선 치료비 절감 방법
✅ 중증 건선 환자는 산정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치료비 부담을 낮출 것.
✅ 보험 적용이 되는 치료 방법(광선치료, 면역억제제)을 먼저 고려한 후 생물학적 제제를 검토.
✅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별 치료비 부담을 확인하고, 보험 적용 범위를 체크할 것.
❓ Q&A
Q1: 건선 치료비가 부담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1: 산정특례 제도를 신청하거나, 보험 적용 가능한 치료법(광선치료, 전신 면역억제제)을 먼저 고려하세요.
Q2: 산정특례 신청 방법은?
A2: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서 및 서류를 지참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하면 됩니다.
Q3: 생물학적 제제 치료를 꼭 받아야 하나요?
A3: 전신 면역억제제 및 광선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생물학적 제제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Q4: 건선 치료를 위한 추가적인 지원 제도는 없나요?
A4: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추가 지원이 가능할 수 있으며, 거주 지역 보건소에서도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